📒 소화기(위장관) > 위, 십이지장 질환 > 위암

왜 T2에 장막하층이 들어가나요? t stage 이상합니다

  • by

  • ·

  • 4일 전

t2부터 t4까지 다 이상합니다


3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4일 전

위암 병기의 T 분류가 헷갈리는 이유는, 최신(8판) AJCC 분류에서 T2를 ‘근육층(MP) 침범 또는 장막하층(subserosa)까지 침범’으로 묶어 두기 때문입니다. 즉 T2는 아래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합니다.

  • T2a: 근육층(muscularis propria) 침범
  • T2b: 장막하층(subserosa) 침범

따라서 “장막하층까지 들어갔는데 왜 T2인가?”라고 느끼실 수 있지만, 현행 분류에서 ‘근육층이든 장막하층이든 둘 중 하나에만 국한되어 있으면 T2’로 보게 됩니다. 그 이유는 장막(serosa) 자체에 침범하면 T3, 주변 장기까지 침범하면 T4로 올려서 분류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T1: 점막(mucosa) 및 점막하층(submucosa) 국한
    • T1a: 점막만 침범
    • T1b: 점막하층까지 침범
  • T2: 근육층(MP) 또는 장막하층(subserosa)까지 침범
    • T2a: 근육층 침범
    • T2b: 장막하층 침범
  • T3: 장막(serosa, 주로 ‘visceral peritoneum’) 침범 (단, 주위 장기 침윤 없음)
  • T4: 주위 장기 침윤(T4b) 또는 장막을 완전히 뚫은 경우(T4a)

따라서 질문에서 “T2에 장막하층이 들어가는 것이 이상하다”라고 느끼셨겠지만, 이는 AJCC 8판의 위암 병기 규정에 따른 것으로, 오류가 아니라 정상적인 분류입니다. T3는 ‘장막을 뚫거나(serosal invasion) 복막 표면에 도달한 경우’이며, T4는 간·췌장 등 주변장기로 실제 침윤이 일어난 경우로 구분됩니다.

정리하자면, 근육층을 넘어서지만 장막을 완전히 침범하지 않았다면 T2로 분류하며, 이때 장막하층(subserosal layer)까지 포함되므로 T2에 장막하층 침범이 들어가는 것이 맞습니다.


·

4일 전

정말인가여? 이해가 안갑니다


헤이즐쌤

·

4일 전

과거 표와 혼동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신속히 수정해두겠습니다. 제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견 남기기